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5.18 민주화 운동, 한강 <소년이 온다>

 
소년이 온다
한국인 최초 맨부커상 수상작가 한강의 여섯 번째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간 있었던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상황과 그 이후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소설이다. 2013년 1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창비문학블로그 ‘창문’에서 연재했던 작품으로 지금까지의 작품세계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철저한 고증과 취재를 통해 저자 특유의 정교하고도 밀도 있는 문장으로 계엄군에 맞서 싸우다 죽음을 맞게 된 중학생 동호와 주변 인물들의 고통 받는 내면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중학교 3학년이던 소년 동호는 친구 정대의 죽음을 목격한 이후 도청 상무관에서 시신들을 관리하는 일을 돕게 된다. 매일같이 합동분향소가 있는 상무관으로 들어오는 시신들을 수습하며 주검들의 말 없는 혼을 위로하기 위해 초를 밝히던 그는 시신들 사이에서 친구 정대의 처참한 죽음을 떠올리며 괴로워한다. 그리고 그날, 돌아오라는 엄마와 돌아가라는 형, 누나들의 말을 듣지 않고 동호는 도청에 남는다. 동호와 함께 상무관에서 일하던 형과 누나들은 5·18 이후 경찰에 연행되어 끔찍한 고문을 받으며 살아 있다는 것을 치욕스러운 고통으로 여기거나 일상을 회복할 수 없는 무력감에 빠진다. 저자는 5·18 당시 숨죽이며 고통 받았던 인물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들려주며 그들의 아픔을 어루만진다. 2017년 이탈리아의 권위 있는 문학상인 말라파르테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저자
한강
출판
창비
출판일
2014.05.19

<소년이 온다>​

 

5.18 민주화 운동 당시 중학생 동호와 운동을 돕던 인물들의 이야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 5.18 민주화 운동을 다룬 책이다.

사실 나에게 5.18 민주화 운동이란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본 몇 장을 문장으로 기억되던 일이었다.

소년이 온다는 생생한 묘사와 문장력으로

잔혹한 학살과 그 시대의 어두움을 적나라하게 표현했다.

 


차디찬 방아쇠를 생각해./그걸 당긴 따뜻한 손가락을 생각해./나를 조준한 눈을 생각해./쏘라고 명령한 사람의 눈을 생각해.//그들의 얼굴을 보고 싶다, 잠든 그들의 눈꺼풀 위로 어른거리고 싶다, 꿈속으로 불쑥 들어가고 싶다, 그 이마, 그 눈꺼풀들을 밤새 건너다니며 어른거리고 싶다. 그들이 악몽 속에서 피 흐르는 내 눈을 볼 때까지. 내 목소리를 들을 때까지. 왜 나를 쐈지, 왜 나를 죽였지.(57-58면)

 


그다음 문단은 검열 때문에 온전히 책에 실리지 못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남는 질문은 이것이다. 인간은 무엇인가.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어서 먹선으로 지워진 넉줄의 문장들을 그녀는 기억했다. (…) 그녀는 인간을 믿지 않았다. 어떤 표정, 어떤 진실, 어떤 유려한 문장도 완전하게 신뢰하지 않았다. 오로지 끈질긴 의심과 차가운 질문들 속에서 살아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95-96면)

이 책은 우리 근현대사의 참혹한 시기를 잘 묘사해 주고있다.

잔인하고 참혹한 기억은

그 시기가 지나도 트라우마로 남아 우리를 괴롭힌다.

책을 읽은 후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운동에 참여한 순수하고 열정 가득한 그들은 어쩌면 내 가족과 이웃이었을 것이다.

그들을 학살한 군인들 또한 내 이웃이지만 잔혹하고 악랄하다.

 

인간의 본성이 무엇일까

인간은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라는 소설 속 문장이 깊이 기억에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