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도파민네이션>

 
도파민네이션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이란? 과학자들은 중독 가능성을 측정하는 보편적인 척도로서 도파민을 사용한다. 뇌의 보상 경로에 도파민이 많을수록 중독성은 더 커진다. 과거에는 도파민을 자극하는 대상을 구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인간이 세상을 결핍의 공간에서 풍요가 넘치는 공간으로 바꾸면서 중독의 법칙이 바뀌었다. 중독성 물질, 음식, 뉴스, 도박, 쇼핑, 게임, 채팅, 음란 문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트위터… 오늘날 큰 보상을 약속하는 자극들은 양, 종류, 효능 등 모든 측면에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가했다. 디지털 세상의 등장은 이런 자극들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스마트폰은 컴퓨터 세대에게 쉴 새 없이 디지털 도파민을 전달하는 현대판 피하주사침이 됐다. 우리는 도파민, 자본주의, 디지털이 결합된 탐닉의 사회, 도파민네이션에 살고 있다. 이제 누구도 중독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도파민네이션』의 저자 애나 렘키 박사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자 스탠퍼드대학 중독치료 센터를 이끄는 정신과 의사이다. 미국 행정부와 의회의 의료 정책을 만드는데 참여하고 있으며 100여 편이 넘는 글과 논문을 발표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엘리트 코스만을 밟아온 이력과 달리 그녀는 이 책에서 어릴 때부터 우울증을 앓아왔고 의사가 된 후에도 에로티즘 소설에 중독된 적이 있었다고 고백한다. 그녀는 한마디로 중독에 관해서는 ‘전문가’인 동시에 ‘내부고발자’인 셈이다. 『도파민네이션』은 최신 뇌과학, 신경과학 연구와 자신이 20년 동안 만난 수 만 명의 임상사례를 통해 인간, 뇌, 중독 그리고 회복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중독에서 벗어나 삶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약물 치료에 의존하기 보다는 도파민의 법칙을 이해하고 고통과 화해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
애나 렘키
출판
흐름출판
출판일
2022.03.21

 

다시 밀리의 서재 구독해서 처음으로 읽게 된 <도파민네이션>

 

 

<도파민네이션>의 저자 애나 렘키 박사는 정신과 의사로 중독치료 센터를 이끌고 있다. 그녀는 수많은 연구와 자신이 만난 많은 환자들을 통해 경험한 사례를 제시한다. 

 

우리는 수많은 자극들 속에서 살아간다. 중독적인 음식, 쇼핑, 게임, SNS 등과 같은 자극들은 과거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가했다. 특히 휴대폰은 우리세대에게 쉴 새 없이 디지털 도파민을 전달하고 이제 누구도 중독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졌다.

 

이러한 쾌락적 자극을 쫓다보면 어떻게 될까?  인간의 뇌는 쾌락을 추구하게 되면 이후에는 만족이 안되고 더 큰 쾌락을 추구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으면 중독으로 가게 되고 마약, 도박 등의 중독에 빠져 강력한 자극에도 쾌락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그래도 희망적인 메시지는 있다.

정신과 전문의인 저자는 중독에서 벗어날 방법을 중독자들에게서 찾는다. 이 책에서는 한때는 중독에 빠져있다 지금은 회복한 환자들의 실제 이야기를 통해 삶의 균형을 찾는 법을 소개한다.

 

중독에서 벗어나 삶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기존의 약물 중심인 치료법부터 바꾸어 나가야 한다. 중독을 막기 위해 새로운 약물로 고통을 없애려 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약물에 중독되고 만다.  중독에서 벗어나는 첫걸음은 고통에 직면하는 것이라고 한다. 고통 마주보기, 있는 그대로 말하기 등 여러가지 방법은 제안한다.

쾌락에 빠진 뇌는 일정 주기가 지나면 다시 원래의 수준으로 회복된다고 한다. 중독자의 경우라도 일정기간 쾌락, 자극을 멈추고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정상수준으로 뇌를 회복할 수 있다고 한다.

 

 

책을 읽으면서 내 생활에 대해 돌아보았다. 얼마전부터 잠이 오지 않을 때는 유튜브 숏츠를 보며 밤을 꼴딱 새우기도 하고, 스마트폰에 수많은 정보가 주는 자극에 중독되어 가고 있던 것 같다. 더 재밌는 영상, 더 많은 정보들을 찾으며 나도 모르게 도파민중독자가 되어가는 듯하다.. 

 

자극이 넘쳐나는 피로사회에서 도파민에 중독되어 가고 있는 많은 현대인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